책 리뷰

생각의 지도 리뷰

배우자알자공부하자 2021. 8. 16. 07:15
반응형

생각의 지도 리뷰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스트셀러 인문 '생각의 지도'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뷰입니다.

 


생각의 지도 책 소개

공자의 후손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후손들을 해부하는 비교문화 연구서. 교육, 과학, 사회, 경제생활, 의학, 언어습관, 계약 관행에 있어서의 동서양의 차이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책이다. 저자는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이 우열의 문제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부분보다는 전체에 주의를 기울이는 동양의 '종합적' 사고방식과, 형식논리나 규칙을 사용하여 추리하는 서양의 '분석적' 사고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논하고 있다.

 


생각의 지도 저자 소개

리처드 니스벳
리처드 니스벳 예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미시간대학교 심리학과의 시어도어 M. 뉴컴(Theodore M. Newcomb) 석좌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의 양대 심리학회인 미국심리학협회와 미국심리학회의 학술상을 수상했다. 2002년 사회심리학자로는 최초로 미국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Human Inference: Strategies and Shortcomings of Social Judgement], [Rules for Reasoning], [Culture of Honor: The Psychology of Violence in the South], [The Person and The Situation], [Men, Honor and Murder]를 비롯,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목차
1. 동양의 도와 서양의 삼단논법 - 고대 그리스와 중국의 철학, 과학, 그리고 사회 구조
2. 동양의 더불어 사는 삶, 서양의 홀로 사는 삶 - 현대 동양인과 서양인의 자기 개념
3. 전체를 보는 동양과 부분을 보는 서양 - 세상을 지각하는 방법의 차이
4. 동양의 상황론과 서양의 본성론 - 동양과 서양의 인과론적 사고
5. 동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동양과 명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서양 - 동양의 관계와 서양의 규칙
6. 논리를 중시하는 서양과 경험을 중시하는 동양 - 서양의 논리와 동양의 중용
7.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의 차이, 그 기원은? - 경제 구조와 사회적 행위
8. 동양과 서양, 누가 옳은가? - 실생활에 주는 교훈
에필로그 :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 충돌할 것인가, 통일될 것인가?

 


책 속 이야기
1930년대 미국의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딕과 제인'이라는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딕이 뛰는 것을 보아라. 딕이 노는 것을 보아라. 딕이 뛰면서 노는 것을 보아라.
한 독립된 개체로서의 개인의 행위를 묘사하고 있는 이 문장들은 서양의 개인주의적인 관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반면에 똑같이 한 남자아이의 행동을 묘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서는 사뭇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형이 어린 동생을 돌보고 있구나. 형은 어린 동생을 사랑해. 그리고 동생도 형을 사랑한단다.
이 문장들은 독립된 개인의 개별행위가 아닌 개인과 주변 인물 간의 관계를 부각시키고 있다. 어린이들이 처음 접하는 교과서에 이미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동양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 본문 52쪽에서 
우리가 수행한 거의 모든 연구에서 동양인과 서양인은 사고 방식의 차이를 보였고 그 정도 또한 매우 큰 편이었다. 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질적으로 아주 다른 사고 방식의 행동 양상을 보였다. 예를 들어, 미국인들은 배경 속에서 일어난 변화를 발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동양인들은 배경 속의 사물에서 일어난 변화를 잘 발견하지 못했다. 미국인들은 행동을 제약하는 상황의 힘을 잘 인식하지 못했지만, 한국인들은 이를 매우 잘 인식했다.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규칙'에 의거하여 범주화했지만,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유사성을 근거로 사물들을 짝지었다. 서로 상반되는 주장이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 미국인들은 상대적으로 어느 한쪽 주장으로 극화되었지만, 중국인들은 두 주장을 모두 수용하는 타협을 선택했다. 202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