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교육을 위한 새로운 흐름 리뷰
인간교육을 위한 새로운 흐름 리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스트셀러 인문 '인간교육을 위한 새로운 흐름' (양장본 HardCover) 듀이와 교육사상 리뷰입니다.
책 소개
더 행복한 인간에 의한 더 나은 세상 존 듀이의 교육철학에서 그 해법을 찾다
존 듀이에서 21세기 인간교육의 새로운 흐름을 읽다
3인의 대담자가 찾아낸 바람직한 교육이란?
일본과 미국에서 진정한 교육의 가치를 연구하고 널리 알리는 세 명의 선구자들이 대담을 위해 한 자리에 모였다. 존 듀이 박사는 미국의 위대한 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이 대담자들은 존 듀이 박사의 시대를 초월한 교육관과 가치관을 살펴본다. 또한 박사의 철학과 가치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는지 다시 조명해본다. 그리하여 이 책은 듀이 박사의 휴머니즘적 교육관을 오늘날의 교육의 장으로 들여와 새로운 인간교육의 흐름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 행복하고 민주주의적이며 휴머니즘적인 인간을 기르기 위한 대담이 펼쳐진다! 대담자 3인은 대화를 통해 인간과 교육철학에 관한 생각을 풀어나가며 우리는 이 대담을 통해 참된 교육관을 배우고 인간애를 느낄 수 있다. 창가 교육이 제시하는 ‘인격가치 창조’의 비전을 알아보자.
듀이 박사의 행동하는 교육 철학!
존 듀이 박사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92년의 생애 동안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은 후 자유민주주의의 이상이 무너져가는 것을 보았다. 이를 지켜보며 듀이 박사는 교육학에 미국의 프래그머티즘을 흡수해 적용하여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조해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듀이는 학생들이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시키는 교육법을 지양한다. 학생들이 여러 경험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지닌 창조력을 발휘시키고자 하며 행복한 인간을, 세계 시민을 길러내고자 한다.
듀이는 과연 시대를 앞선 깨어있는 사람이었다. 19~20세기에 쓰인 그의 글과 생각은 시대를 초월한 가치를 담고 있다. 그의 철학과 저서는 오늘날까지도 큰 울림과 깨달음을 전해주고 있다. 행복과 민주주의, 휴머니즘, 참된 교육의 가치가 위협받고 있다면 우리는 존 듀이의 철학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바로 지금, 새로운 인간교육이 왜 필요한가?
우리 사회는 학생을 존중하는가? 우리 사회는 아이들의 집단따돌림을 방조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 사회에서 사제지간의 유대가 흔들리고 있지 않은가? 우리 사회에서 가정의 역할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우리 사회에서 대학의 사명이 흔들리고 있지 않은가?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된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가 정의롭게 실현되고 있는가? 우리 사회 속 사람들은 진정으로 행복한가? 우리 사회 속에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우리 사회 속에서 과학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우리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들의 해답을 찾고자 한다면? 우리는 19~20세기를 살아간 선구자인 존 듀이 박사의 철학과 가치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시대를 초월한 그의 선구안 속에 해법이 있다. 창가 교육이 새로운 인간교육의 흐름을 제시한다.
저자 소개
이케다 다이사쿠
1928년 1월 2일 도쿄 태생. 창가학회 명예회장. 세계적인 불교단체인 국제창가학회(SGI) 회장. 일본 소카대학교, 미국 소카대학교, 소카 학원, 민주 음악회, 도쿄 후지 미술관, 동양철학연구소 등을 설립. 평생 동안 평화, 문화, 교육운동에 헌신. 하버드대학교, 모스크바대학교, 베이징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등지에서 1970년대부터 32차례의 강연을 했으며, 모스크바대학교, 베이징대학교를 비롯해 한국의 경희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원대학교, 경주대학교, 동아대학교 등 세계 390여 개(2020년 10월 기준)가 넘는 대학교에서 명예박사와 명예교수의 칭호를 수여하였다. 한국 화관문화훈장, 프랑스 예술문학 훈장, 오스트리아 학술 예술 최고 훈위 영예장, 폴란드 문화공로훈장 등 세계 24개국 정부에서 국가훈장을 수훈하였으며 UN 평화상을 비롯해 UN 난민 고등판무관 사무소 인도상, 제1회 타고르 평화상, 케냐 구승(口承) 문학상, 세계 계관시인 칭호 및 세계 민중시인 칭호 등 다수의 상과 칭호를 수여했다. 세계 식자와의 대화는 1,700회가 넘었으며, 그 외 미국, 프랑스, 브라질, 한국의 부산광역시, 강원도, 제주도, 구리시, 경산시, 구미시, 충주시, 춘천시 등 세계 800여 개 도시의 명예시민이기도 하다(2020년 10월 기준). 주요 저서로는 《인간혁명》(전 12권), 《신·인간혁명》(전 30권), 《여성에게 드리는 100자의 행복》, 《인생좌표》, 《명언 100선》, 《해피로드》, 《지지 않는 청춘》, 대담집 《21세기를 여는 대화》(A. 토인비와의 대담), 《21세기를 향한 경종》(A. 펫체이와의 대담), 《생명의 세기를 향한 탐구》(L. 폴링과의 대담), 《20세기 정신의 교훈》(M. 고르바초프와의 대담), 《우주와 지구와 인간》(세레브로프와의 대담), 《동양철학을 말한다》(L. 찬드라와의 대담), 《21세기 평화와 종교를 말한다》(하비 콕스와의 대담), 《지구 평화를 향한 탐구》(로트블랫과의 대담) 등 다수가 있다. 또한 그의 저작은 세계 50개 언어로 2,000여 점이 번역 출간되었고, 이 중에는 아동 청소년을 위한 다수의 동화책도 포함되어 있다.|||1949년, 미국 오하이오주 출생. 버지니아공과대학교 교육철학 교수, 미국철학진흥협회 집행위원. 존 듀이 협회 회장, 교육철학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실용주의. 《민주주의의 부흥과 듀이철학의 재구성》《듀이 탄생 150년 : 신세기를 향한 고찰》을 비롯해 많은 저서를 펴냈다.
교육철학 분야에서 추진한 연구가 높은 평가를 받아 짐메릿상(Jim Merritt Award), 존 듀이 협회 특별공로상 등을 받았다.|||1942년, 미국 텍사스주 출생. 서던일리노이대학교 카본데일캠퍼스 철학 교수, 듀이연구센터 소장. 텍사스A&M대학교 철학 교수 외에 미국철학진흥협회 회장, 존 듀이 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존 듀이의 실용주의적 기술》 《듀이를 읽는다 : 포스트모던 세대를 위한 해설》 《존 듀이 서간집》 등 많은 저서를 펴냈다. 세계 20개국이 넘는 나라에서 강연하고, 저서 등은 10개 국어로 번역되었다.
2007년, 전미우등학생우애회(PHI BETA KAPPA) 전미우수학자상(The 2007-2010 Phi Kappa Phi National Scholar Award)을 받았다. 소카대학교, 쾰른대학교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목차
제1장 듀이철학의 광원
1. 21세기에 빛나는 듀이의 인간과 철학 / 2. 만남이 만드는 인생의 여로 / 3. ‘사제정신의 계승’이 인간교육의 진수 / 4. 좋은 스승, 좋은 벗, 좋은 인생 / 5. 전쟁에 맞서 평화의 철학을 실천
제2장 교육의 사명
1. 교육사상의 공통점과 현대의 교육과제 / 2. 바람직한 학교교육과 집단괴롭힘 문제 / 3. 가정교육의 역할과 인격의 존중 / 4. 차대의 지성을 육성하는 대학의 사명 / 5. 21세기 대학의 사명 / 6. 세계시민의 요건과 교육 / 7. 평생학습과 인간의 성장
제3장 대화와 민주주의
1. 공생사회를 만드는 ‘대화’의 힘 / 2. ‘대화’를 통한 분쟁해결의 조류 / 3. 민중이 주역인 세기를 향하여 / 4. ‘민중의 연대’와 민주주의 사회
제4장 과학·철학·종교
1. 인간의 행복을 위한 과학기술 / 2. 창조적 생명을 개화시키는 철학 / 3. 글로벌 시대 종교의 사명 / 4. 희망찬 미래는 청년에게서, 여성에게서
출판사 서평
듀이 박사의 행동하는 교육 철학!
존 듀이 박사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92년의 생애 동안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은 후 자유민주주의의 이상이 무너져가는 것을 보았다. 이를 지켜보며 듀이 박사는 교육학에 미국의 프래그머티즘을 흡수해 적용하여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조해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듀이는 학생들이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시키는 교육법을 지양한다. 학생들이 여러 경험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지닌 창조력을 발휘시키고자 하며 행복한 인간을, 세계 시민을 길러내고자 한다.
듀이는 과연 시대를 앞선 깨어있는 사람이었다. 19~20세기에 쓰인 그의 글과 생각은 시대를 초월한 가치를 담고 있다. 그의 철학과 저서는 오늘날까지도 큰 울림과 깨달음을 전해주고 있다. 행복과 민주주의, 휴머니즘, 참된 교육의 가치가 위협받고 있다면 우리는 존 듀이의 철학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바로 지금, 새로운 인간교육이 왜 필요한가?
우리 사회는 학생을 존중하는가? 우리 사회는 아이들의 집단따돌림을 방조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 사회에서 사제지간의 유대가 흔들리고 있지 않은가? 우리 사회에서 가정의 역할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우리 사회에서 대학의 사명이 흔들리고 있지 않은가?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된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가 정의롭게 실현되고 있는가? 우리 사회 속 사람들은 진정으로 행복한가? 우리 사회 속에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우리 사회 속에서 과학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우리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들의 해답을 찾고자 한다면? 우리는 19~20세기를 살아간 선구자인 존 듀이 박사의 철학과 가치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시대를 초월한 그의 선구안 속에 해법이 있다. 창가 교육이 새로운 인간교육의 흐름을 제시한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